'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 설경구가 느낀 '불편함'의 정체 [인터뷰] > 인터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 설경구가 느낀 '불편함'의 정체 [인터뷰]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예지 기자 댓글 0건 작성일 22-04-27 14:23

본문

c.jpg

배우 설경구의 가치관은 확고하다. 혼동 속에서도 무엇이 옳고 그른가를 제대로 판단하고, 타인의 고통에 마음으로 뜨겁게 공감하며 연민할 줄 아는 이다. 


학교 폭력 가해자로 지목된 아이의 부모들이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추악하고 뻔뻔한 민낯을 드러내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감독 김지훈). 극 중 설경구는 가해 학생의 부모이자 변호사인 강호창을 맡았다. 그동안 비극적인 실화를 소재로 한 영화 '소원' '생일' 등에서 피해자 부모 역할을 맡아 고통과 연민을 이끌어내던 그였기에, 가해자의 부모 역할을 맡았다는 것만으로도 의외였다. 늘 피해자의 편에 서서 마음으로 함께 울고 공감하던 이의 변모된 지점은 새롭고 낯설기 짝이 없다. 


설경구는 "강호창이란 인물에게 강렬함을 느끼며 접근하지 않았다. 평범한 한 한생의 아버지로 접근했고, 진행되는 과정과 상황에 의해 변화되는 모습이었기에 평범함을 놓치지 않으려는 보통의 아버지로 시작했던 것 같다"는 설명이었다. 


그가 느끼기에 강호창은 계획하고 설계해서 연기해야 하는 캐릭터가 아니었다. 그저 상황에 맡기려 했다. 그는 아들을 지키고자 하는 강호창의 역할에 충실하기 위해 '억울함'에 집중했다. "우리 아이는 주동자가 아니라며 어떻게든 빠져나가려 한다. 친구들과 어울려서 했을 것이고 직접적인 가해는 하지 않았다고 아들을 믿는다. 네 명 가해 학생의 이름 중 가장 마지막에 제 아들이 쓰여있다고, 그건 용서해줄 수도 있었던 거라며 말도 안 되는 이상한 변론을 한다. 참 비겁하고 정의롭지 못하다"는 감상이었다. 하지만 "가해자의 부모지만 가해자의 마음으로 연기하지 않으려 했다. 능력 없는 변호사에 닥친 아들의 학교 폭력 문제였다. 가해자이면서 피해자인 아이의 부모다. 그래서 끝까지 평범한 아버지여야 이야기에 더 몰입될 수 있고, 자신이 스스로도 추악한 모습을 보이는지 모르지만 그래서 더 괴물처럼 변해가고 있음이 드러나게 하고 싶었다"는 설명이다.  


막상 강호창을 연기하며 설경구는 모호하고 복잡해졌다. 그 역시 부모로서 필사적으로 제 자식을 지키기 위해 피해자의 아픔을 외면하는 강호창을 온전히 공감하기도, 그렇다고 공감하지 않을 수도 없었던 탓이다. "머리로는 정의롭고 싶고 의연하고 싶지만 그렇지 못한게 또 부모가 아닌가 생각도 하게 되고, 강호창을 마냥 이해할 수도 그렇다고 이해 못 할 부분도 없다는 것이 참 모호했다"고. 

 

cats.jpg


그가 촬영 내내 느낀 감정은 '불편함'이었다. 극 중 피해 학생의 부모 역을 맡은 문소리와는 그토록 절친한 사이임에도 촬영 내내 말 한마디 나누지 못할 정도였다. "작품을 같이 안 하더라도 같이 밥먹고 술 먹고 수다 떨고 그런 여동생 같은 사이인데 이번 작품을 같이 할 땐 밥은커녕 길게 대화를 나눈 적도 없다. 감히 말을 붙이기도 안 붙이기도 이상했다. 이 영화 속에서 제가 지은 죄가 있어서 그런지 범접하질 못하겠더라"고. 


아이들의 가해 장면을 보는 것도 괴로워한 그다. "영화에서 보여지는 장면도 힘들었지만, 한편으론 영화라서 절제된 부분이 있고 실제론 저런 괴롭힘이 더욱 심했을 거란 생각에 감정적으로 힘들었다"는 그는 "이 영화가 5년 전에 촬영된 영화인데 여전히 '낡은 이야기, 옛날이야기'가 아니라 사회에서 계속되고 있는 문제다. 정말 바라고 싶지 않은 상황이고 끊임없이 분노하고 계속 상기돼야 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사실 완성된 영화를 처음 시사할 때 그는 눈이 시뻘개질정도로 감정을 주체할 수 없었다. 극 중 문소리가 자살 시도를 한 자식이 중환자실에 놓여 혼수상태에 빠져 있는 상황에서 뺨을 때리는 순간부터 감정이 훅 솟구쳤다는 설명이다. "그때부터 터지는데 답답하고 속상하고 분노가 막 올라오면서 참으려고 했는데도 눈물이 터지더라. 이 안타까움과 분노가 뒤섞인 마음이 너무 복합적으로 올라왔다"는 그는 어느덧 또다시 울컥한다. 역시나 이 모습은 익히 아는 설경구다. 살갑진 못해도 속 깊은 정이 있고, 타인의 고통에 대한 연민으로 말없이 함께 울어주는 사람. 언제나 다름없는 그 모습을 보니 괜한 안도감이 드는 것도 당연했다. 


설경구는 "이 영화가 피해자의 입장에서 함께 딛고 이겨내려는 시선이 아니라, 어떻게든 덮으려는 가해자의 입장을 보여주며 진행되는 점이 차별점이다. 물론 모든 부모가 그러진 않을 것이다. 분명 뉘우치고 후회하고 용서를 바라는 부모도 있을 텐데 우리 영화 속 부모들은 모두 극단의 상황으로 간다. 하지만 저는 가해자를 보며 도리어 피해자에 이입됐다. 가해자의 민낯을 보여주며 선택에 대한 딜레마를 주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악마와 괴물이 되어가는 과정을 고발하는 영화"라고 확고히 정의했다. 또한 그는 강호창과 아들 한결의 미래가 결코 밝지 않을 것으로 냉철하게 확신했다. "그 순간은 덮어질지 몰라도 그들의 인생은 결코 평범한 삶으로 돌아가진 못했을 것이다. 마음의 징벌과 자책이 있을 것이고 이미 그 순간부터 지옥으로 떨어진 것"이라고. 


"이 영화가 세상을 바꾸진 못할지라도, 지금도 현재 진행형으로 어느곳에서나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 우리가 멈추지 않고 꾸준히 이야기할 수 있는, 그런 힘이라도 보태고 싶은 것이 이 영화의 진정성"이라는 설경구에게서 작품을 통해 공감과 위로를 건네고자 하는 간절한 진심이 엿보인다. 그렇기에 배우로서의 그의 선택과 삶은 더욱 가치 있다. 그럼에도 "진정성은 연기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 같다. 이번 작품 할 때도 감독에게 진짜 같은지를 가장 많이 물어봤다. 이런 이야기를 하며 아픔에 공감하지 못한다면 그게 문제가 있는 게 아닐까"라며 "저는 뭔가 갖춰진 완성형 인간이 아니기에 계속 실수하고 늘 후회하고 반성하며 살아간다. 계속 이를 반복하며 살다 보면 조금씩은 나아지지 않겠나 싶다. 제 삶의 가치라고 하기엔 너무 거창하고 큰 단어 같다. 일단 솔직하게 살려고 하고 있다"고 부러 무뚝뚝하다. 알고 보면 이토록 따뜻한 이다. 

 

사진=마인드마크 제공

한예지 기자 news@movieforest.co.kr
공감 0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추천뉴스

게시물이 없습니다.